본문 바로가기
CCNA/L2, L3, L4

L2, L3, L4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자!

by slrspdla1 2020. 11.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위치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Switch는 Layer 2의 대표적인 장비로 알고 있는데요.

Layer 2 Switch는 Mac-address를 기반으로 어떤 포트로 넘길지 결정하는 장비입니다.

원래는 스위치의 기능은 2계층 역할밖에 못했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L3, L4, 심지어 L7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Layer 2 Switch의 대표적인? 장비로 Cisco의 2960-24TT 스위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앞에 있는 2가  제가 봤을 때는 2 계층이라고 생각됩니다)

24TT니까 24포트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뒤에 TT가 아니라 P가 있으면 80%는 PoE이고, 나머지는 PORT의 약자라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L3 Switch는 무엇일까요?

이것을 이해하시려면 먼저 OSI 7 계층을 떠올리시기 바랍니다.

OSI 7계층 중 3 계층이 무엇이죠?

 

바로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IP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어떤 포트로 Forwarding 해야 할지 결정하는데요.

이것은 옛날에는 라우터가 주로 했던 역할이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기능을 스위치도 할 수 있는 장비가 있습니다.

그게 바로 L3 스위치입니다.

한마디로 L3 스위치는 라우터 기능 + L2 스위치 기능을 합한 것이 L3 스위치입니다. 

 

원래는 스위치와 라우터 2가지 장비가 있어야지 서로 다른 네트워크 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L3 스위치가 있으면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이죠.

이해가 가셨나요?

 

그러면 이제 L4 스위치로 가보겠습니다.

OSI 7 계층 중 4 계층은 전송계층인데요.

포트 번호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Telnet은 23번, ssh는 22번, http는 80번, Snmp는 25번 등으로 각 프로토콜마다 대표하는 번호가 있습니다.

그러면 4 계층의 스위치 역할은 말 그대로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배한다. 

이것을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이라 합니다.

 

즉 엔지니어가 설정한 값을 기반으로 포트를 보고, 데이터를 분배한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L4스위치는 라우팅 기능, 스위칭 기능, 로드 벨런스를 모두 갖춘 장비도 있고, 로드 벨런스 기능만 갖춘 장비도 있습니다.

L4 스위치인데 l3, l2기능까지 가지고 있으면 가격이 올라갑니다.

 

정리하자면 L2는 Mac-address를 기반으로 

L3는 IP를 기반으로 L4는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forwarding한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